1. 가계부 쓰는 습관 들이기
돈 절약하는 첫걸음은 자신의 소비패턴을 파악하는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내가 어디에 이렇게 많이 썼지?' 하고 놀라는 경우가 많다. 가계부를 쓰면 불필요한 지출을 바로 확인하고, 더 나은 소비 습관을 만들 수 있다. 뱅크샐러드, 자산관리 앱등을 활용하면 자동으로 정리가 가능하다. 또는 직접 수기로 가계부를 작성하게 되면 더 기억에 남고, 소비습관 개선에 도움이 된다. 가계부를 작성할때는 고정 지출(월세, 공과금 등)과 변동 지출(식비, 쇼핑 등) 로 카테고리를 분류하여 세부적으로 작성하는것이 좋다. 가계부를 꾸준히 쓰게되면 1년에 평균 20~30만원 이상 절약할 수 있다.
2. 할인 및 캐시백 적극 활용하기
같은 물건이라도 더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 할인 쿠폰, 적립금, 카드 혜택 등을 잘 활용하면 연간 수십만원을 절약할 수 있다. 체크카드 및 신용카드의 혜택을 확인하여, 결제할 때 할인 또는 캐시백 적용되는 카드를 사용하는것이 돈 절약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네이버페이, 카카오페이, L.POINT 등을 적극 활용하여 쇼핑할 때 적립금을 사용하는것도 좋은 방법이다. 새로 가입한 쇼핑몰에서 기본 제공되는 할인 쿠폰을 활용하여 첫 구매나 제공되는 쿠폰을 사용하여 결제해야 돈을 절약할 수 있다. 무조건 싸게 사는 것보다 필요한 물건을 가장 저렴한 방법으로 사는 것이 핵심포인트임을 잊지 않아야 한다.
3. 외식 줄이고 집밥 해먹기
배달 음식과 외식은 한 번에 2~3만원씩 금방 지출이 된다. 한 달만 아껴도 수십만원 씩 절약이 가능하다. 외식을 줄이고 집에서 직접 요리하여 집밥을 먹는 습관을 가져보자. 간단한 요리부터 시작하는게 좋은데 예를 들어, 5분 만에 만들 수 있는 계란밥이나 샌드위치, 볶음밥 등을 추천한다. 그리고 미리 재료를 손질해두면 요리 시간이 줄어드니 밀프렙을 활용해 보는 것이 좋다. 또한, 배달 앱을 삭제해서 배달 음식의 유혹을 줄이고 직접 요리하는 습관을 들여보는것을 추천한다. 배달 앱을 삭제하는게 쉽지 않다면 한 달에 정해진 횟수만 이용하는 배달 제한 규칙을 만들어 보는 것도 좋다. 한 달만 실천해도 외식비의 절반을 절약할 수 있다. 그리고 조미료가 가득한 배달음식보다 집밥을 먹게 되면 훨씬 건강해지는 몸을 느낄 수 있다.
4. 중고 거래 적극 활용하기
새 제품을 사기 전에 중고 시장을 먼저 확인하는 습관을 들여 중고 거래를 적극 활용해보자. 요즘은 중고나라, 당근마켓, 번개장터 등과 같은 앱을 통해 상태 좋은 제품을 저렴하게 구할 수도 있다. 중고 거래를 할 때는 전자 제품은 박스와 보증서가 있는 제품을 우선적으로 구매하는 것이 팁이다. 중고 거래를 하기 전에 제품 상태를 확인 하는것이 확실하기 때문에 직거래를 추천한다. 그리고 안쓰는 물건은 되팔아서 부가적으로 추가 수입을 만들기도 한다. 중고거래의 핵심은 나에게 필요한 중고 시장을 통해 저렴하게 구매하고, 안쓰는 물건을 팔아 용돈을 버는것이다. 중고 거래를 적극 활용하여 생활속의 절약을 실천해보는 것을 추천한다.
5. 공동 구매 & 대량 구매 활용하기
같은 제품을 여러개 구매하면 가격이 더 저렴한 경우가 많다. 친구, 가족과 함께 공동 구매하면 배송비 절약 및 추가 할인도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마트에서 1+1 상품을 같이 구매 후 나눠 사용을 하거나, 인터넷 쇼핑몰에서 3~5개 묶음 상품을 공동 구매하는 방법이 있다. 그리고 배송비 무료 기준이 있다면 그 기준을 맞추기 위해 가족, 친구와 함께 주문해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또한 장을 보기 전에는 구매 리스트를 미리 작성하는 것이 좋다. 목록에 없는 물건을 절대 사지 않는 습관을 들이면 충동적인 구매를 줄일 수 있다. 처음에는 작은 변화일지라도, 꾸준히 하다보면 한달에 몇 만원, 1년 수십만원을 아낄 수 있다. 돈 절약 꿀팁을 실천하다보면 함께 돈을 아끼고 더욱 풍요로운 생활을 만들어 나갈 수 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탄소중립포인트제 참여하고 인센티브 혜택까지! (0) | 2025.02.16 |
---|---|
국민연금 수령 시 세금 줄이기 (0) | 2025.02.15 |
여행 경비 절약 꿀팁 : 현명한 예산 관리 방법 (2) | 2025.02.13 |
가정의 재정 관리에 도움이 되는 앱 추천! (6) | 2025.02.12 |
예기치 못한 사고대비, 일상생활배상책임보험으로 경제적 부담 줄이는 방법 (4) | 2025.02.11 |